오늘, 그날 3월 26일 역사 속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 역사를 기록하게 되었을까요?
과거를 들여다 보고 과거가 오늘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 출발합니다.~~
📌 3월 26일, 오늘의 역사 한눈에 보겠습니다.
연도 | 역사적 사건 | 분 야 |
1351년 | 황산대첩의 영웅, 이성계 생일 | 한국사 |
1971년 | 방글라데시 독립 선언 | 세계사 |
1979년 | 이집트 이스라엘 평화조약 체결 | |
1991년 |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결정 | 한국사 |
2000년 | 천리안 위성 발사 | 한국 과학기술 |
2010년 | 천안함 피격 사건 | 현대사 |
2014년 | 朴대통령, 네덜란드 핵안보정상회의 참석 | 국제 정치 |
🌐 세계사 속 3월 26일 역사
🇧🇩 1971년 – 방글라데시 독립 선언
수천만 명의 희생 끝에 탄생한 나라, 방글라데시.
이날, 그들은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이 독립 전쟁은 단순한 내전이 아니라
종교, 언어, 정체성의 충돌이 응축된 사건이었고
인도까지 개입하면서 국제사회도 크게 흔들렸죠.
3월26일은 현재 방글라데시의 독립기념일이라고 합니다.
🇪🇬 1979년 – 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 체결
중동에서는 늘 긴장과 전쟁이 일상이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손을 잡았다는 건
당시엔 믿기 힘든 뉴스였죠.
미국의 중재로 이루어진 이 평화조약은
역사상 처음으로 아랍 국가가 이스라엘을 인정한 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대가는 컸습니다.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은 몇 년 후 극단주의자에게 암살당하죠.
🌍 3월 26일, 역사 속 오늘
"오늘은 그냥 하루가 아니었습니다."
과거를 살펴보면, 우리가 지나치는 하루하루에도 크고 작은 역사의 흔적이 숨어 있죠.
3월 26일, 이 날 역시 세계사와 한국사 속에서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습니다.
🎂 1351년 – 이성계 탄생, 조선을 연 사나이
지금으로부터 무려 670여 년 전, 한 남자가 세상에 태어납니다.
그의 이름은 바로 이성계.
후일 위화도에서 군을 돌려 고려를 뒤흔들고,
새로운 왕조 ‘조선’을 연 인물입니다.
📜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그는 어린 시절부터 무예에 능했고,
함경도에서 활동하던 여진족과의 전투에서 두각을 드러냈다고 하죠.
“나라 하나의 운명이, 한 사람의 탄생에서 시작되었다”는 말이 어색하지 않은 날입니다.
💥 2010년 – 천안함 피격,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사건
2010년 3월 26일 밤,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우리 해군의 초계함,
천안함이 갑작스레 두 동강 나며 침몰했습니다.
46명의 젊은 장병들이 차디찬 바닷속으로 스러졌습니다.
당시 뉴스를 보며 울먹이던 유가족, 끝내 인양된 함체에서 수습된 생명의 흔적들…
그 잔상은 지금도 마음 한켠에 남아있습니다.
군 당국과 민간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후로도 논란은 있었지만, 분명한 건 생명을 잃은 이들의 희생은 잊혀선 안 된다는 것입니다.
🕊 그날을 기억하며, 오늘 하루도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2000년 – 천리안 위성, 대한민국의 하늘을 열다
"우리도 이제 위성을 갖는다!"
2000년 3월 26일, 대한민국 최초의 정지궤도 실용위성 천리안 1호가
미국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쏘아올려졌습니다.
기상 관측부터 해양 감시, 위성통신까지 담당하며
우리 기술의 자립에 큰 전환점이 되었죠.
당시 방송에서 생중계로 위성이 날아오르던 장면은
마치 국가대표가 금메달을 따는 듯한 뿌듯함을 안겨주었습니다 😊
📚 조선왕조실록, 세계가 인정한 우리의 기록 유산
1991년 3월 26일, 유네스코는 조선왕조실록을 세계기록유산 후보로 올렸습니다.
그리고 몇 해 뒤, 정식 등재가 결정됐죠.
생각해 보면 472년간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한 나라가 또 있을까요?
오죽하면 “조선은 기록의 나라였다”고들 하잖아요.
이 실록은 단순한 역사책이 아니라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 문화, 정치, 심지어 소문까지 담겨 있는 살아 있는 증언입니다.
💬 개인적인 생각 – 기억해야 할 오늘
3월 26일은 단순한 날짜가 아니라
한 나라의 시작(방글라데시),
국가적 비극(천안함),
과학의 진보(천리안 위성),
문화유산의 가시화(조선왕조실록) 등
정말 다양한 역사적 사건이 일어나고 의미가 담긴 날입니다.
저는 특히 천안함 사건을 떠올리면 정말 가슴이 아프고 북한과의 통일이 더욱 절실해집니다.
당시 뉴스 속 울먹이던 가족들의 얼굴,
그 비극 속에서 다시 다짐했던 '안보'와 '평화'의 중요성을 지금도 기억합니다.
과거를 잊지 않는 것이 우리가 오늘을 더 잘 사는 방법이라는 말, 참 맞는 말 같아요.
📝 마무리한 줄
"기록된 과거는 언젠가 오늘이었고, 오늘도 언젠가 누군가의 역사로 남겠죠."
오늘도 우리는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도 댓글로 공유해 주시고 다른 날의 역사를 또 포스팅하겠습니다.
좋아요 , 구독 부탁드립니다
'역사, 지식, 건강, 인물,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8일 역사 속 오늘 – 세계와 한국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1) | 2025.03.28 |
---|---|
3월 27일 역사 속 오늘, 세계와 한국에서는 무슨 일이? (2) | 2025.03.27 |
3월25일 그날의 역사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5) | 2025.03.25 |
3월 24일 역사 속 오늘: 세계와 한국을 바꾼 순간들 (2) | 2025.03.24 |
3월23일, 오늘의 역사! (1)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