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지식, 건강, 인물, 영화

5탄 ~ 소득 수준별 전세자금대출을 알아 보았어요 총정리편~~

by 탐험가규 2025. 2. 23.
반응형

소득별 전세대출 이미지

<소득 수준별 전세자금대출 비교총정리 >

전세자금대출은 소득 수준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 한도, 금리 등이 달라집니다.

본인의 소득에 맞는 대출 상품을 선택해 보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득수준별 전세자금대출 비교를 해 보았으니 잘 활용해 보세요~

◾ 전세자금대출은?

대부분의 시중은행은 전세보증금의 80%이내 대출을 해주고 있고 실제로 심사를 해보면 소득이나 신용등급에 따라 70%이내로 승인 되는 경우도 있어요~ 따라서 본인의 조건을 잘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해요~~

종류는  **정책금융상품(정부지원)**과 일반 금융기관 대출로 나뉘어 져요.

🔍 소득별 전세자금대출 비교 

구분 대상 대출 한도 금리 보증 기관

구분 대상 대출한도 금리 보증기관
저소득층
(연소득 4천만 원 이하)
청년/무주택자 최대 2억 원 연 1~2%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주택금융공사(HF)
중위소득층
(연소득 4천만~7천만 원)
일반 직장인, 신혼부부 최대 2억 2천만 원 연 2~3%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주택금융공사(HF)
고소득층
(연소득 7천만 원 이상)
고소득 직장인, 프리랜서 최대 5억 원 연 3~5% 시중은행 자체 보증

저소득층은 주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면 저금리로 가능하며, 소득이 낮을수록 유리해요.

중위소득층은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등 기타 정책 대출이 있고, 일부 금융권의 기타 전세자금대출도 이용할 수 있어요.

고소득층은 정부 지원 상품보다 일반 은행 전세자금대출이 더 나을 수 도 있어요 은행재원전세자금대출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그리고 보증금을 담보로한 플러스 전세자금 대출상품도 있어요.

🏦 주요 전세자금대출 상품별 비교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저소득층, 중위소득층 대상)

◾ 대상: 연소득 4천만 원 이하(신혼부부는 (7년이내)6천만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2억 원 (수도권 1억 5천만 원)

◾ 금리: 연 1.2~2.4%

◾ 보증 기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주택금융공사(HF)

◾ 장점: 저금리, 무주택자 대상 지원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중위소득층 대상)

◾ 대상: 신혼부부(결혼 7년 이내),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2억 2천만 원

◾ 금리: 연 1.3~2.5%

◾ 보증 기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장점: 신혼부부 우대금리 적용, 대출한도 확대

 

일반 전세자금대출 (고소득층 대상)

◾ 대상: 연소득 7천만 원 이상 직장인, 프리랜서

◾ 대출 한도: 최대 5억 원

◾ 금리: 연 3~5%

◾ 보증 기관: 시중은행 자체 보

◾ 장점: 대출 한도 큼, 대출 심사 빠름

🎯 나에게 맞는 전세자금대출 선택 방법은 요~~

◆ 소득 수준 확인: 본인의 연소득을 기준으로  상품을 찾아봐요.

대출 한도 고려: 필요한 금액과(소요자금이라고 해요) 한도를 비교하여 상품을 찾아요.

◆ 금리 비교: 금리가 낮을수록 유리하겠죠?

◆ 보증 기관 확인: 보증기관은 금융기관에서 확인해 줘요.

◆ 추가 혜택 고려: 신혼부부, 청년, 무주택자는 추가 우대 혜택도 있어요.

🎯 마무리

전세자금대출은 소득수준, 주택보유여부 등에 따라 한도와 금리가 달라요.  본인의 상황에 맞는 상품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해요.

정부지원 대출이 금리가 더 낮으니 먼저 찾아보구요, 대출이 많이 필요하면  시중은행 상품을 고려해보는게 좋아요

 

📢 더 많은 대출 정보가 궁금하다면 댓글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