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지식, 건강, 인물, 영화

오늘은 무슨 날? 3월 11일, 오늘의 역사. 오늘은 항상 어제 입니다.

by 탐험가규 2025. 3. 11.
반응형

오늘은 무슨 날? 3월 11일, 세계와 대한민국의 역사적 사건 모음

3월 11일에도 세계사와 한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자연재해와 정치적 변혁, 역사적 인물들의 중요한 순간들.
오늘은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알아봤습니다.

세계의 역사적 사건

🔹 2011년 - 일본 도호쿠 대지진 발생

거대 쓰나미(이화테현 미야코시)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동북) 지역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지진은 일본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이로 인해 쓰나미가 발생하면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까지 이어졌습니다.
📌 주요 피해:
 

  • 사망자 15,899명, 실종자 2,529명, 부상자 6,157명
  • 쓰나미로 인해 약 56만 채 이상의 건물 피해
  • 후쿠시마 원전 폭발로 방사능 유출
  • 경제적 피해 약 2350억 달러(약 300조 원)

 
이 사건은 세계 원전 역사상 최악의 사고 중 하나로 평가되며,
이 사고 이후 일본에서는 원전 안전 점검과 재생 에너지 확대가 중요한 국가 과제가 되었습니다.
또한 국제적으로도 원전 안전성 강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습니다.


🔹 1990년 - 리투아니아, 소련으로부터 독립 선언

1990년 3월 11일, 발트 3국 중 하나인 리투아니아소련(USSR)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이는 소련 붕괴의 신호탄이 된 사건 중 하나로, 이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도 독립을 선언하며 동유럽의 정치적 지형이 크게 바뀌게 됩니다.
 
📌 배경과 결과

  • 당시 소련은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을 시행 중이었으나, 독립을 원하는 국가들의 움직임이 거세졌습니다.
  • 리투아니아의 독립 선언 이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도 독립을 선언하며 발트 3국이 소련을 탈퇴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1991년, 소련은 결국 해체되었고, 결국 리투아니아는 2004년 유럽연합(EU)과 NATO에 가입하면서 완전히 독립국가로 자리 잡았습니다.

 

 

🔹 1978년 - 팔레스타인 지도자 피살 사건

1978년 3월 11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지도자 중 한 명인 카말 아둔이 이스라엘 첩보부(Mossad)의 암살 작전으로 피살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중동 분쟁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되었고 이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은 더욱 격화되었습니다.


🔹 1851년 - 이탈리아의 천재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 오페라 <리골레토> 초연

주세페 베르디 초상

이탈리아의 위대한 오페라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의 대표작 **<리골레토>**가 처음으로 공연된 날입니다.
이 작품은 '여자의 마음(La donna è mobile)'이라는 유명한 아리아로 잘 알려져 클래식 팬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멜로디로 알려져 있습니다.

🎶 "라 돈나 에 모빌레~ 콰룸 알 벤토~" 🎶
이 오페라는 현재까지도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역사적 사건

🔹 1976년 - 명동 YWCA 위장결혼 사건

1976년 3월 11일, 서울 명동 YWCA에서 위장 결혼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유신 독재에 대한 저항 운동으로, 종교계와 민주화 운동가들이 탄압을 피해 활동하기 위한 상징적인 행사였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민주화 운동이 더욱 조직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후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지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 2006년 -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차별 시정 권고

2006년 3월 11일,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인을 차별하는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시정 권고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장애인 차별금지법이 제정되었으며,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었습니다.


🔹 2020년 - WHO,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2020년 3월 11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COVID-19)를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선언했습니다.
이날을 기점으로 각국 정부는 강력한 방역 조치를 시행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일상이 급격하게 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의 대응:

  • 마스크 착용 의무화
  • 거리두기 및 비대면 생활 확산
  • 백신 개발 및 접종 추진

코로나19는 21세기 인류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보건 위기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었습니다.
 이후 전 세계의 생활 방식이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조선왕조실록 속 3월 11일.

부산진순절도

🔹 1593년 - 선조, 임진왜란 중 도성(서울) 수복을 논의합니다.

1593년 3월 11일, 선조는 피난 중인 의주에서 조정 대신들과 함께 한양 수복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이 당시 조선은 명나라 군대의 지원을 받아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었으며,
결국 같은 해 5월 한양을 탈환하는 데 성공합니다.
그러나 당시 한양은 여전히 일본군의 점령 하에 있었고, 백성들의 피해가 극심한 상태였습니다.
결국 명나라 군대의 지원을 받아 1593년 5월 한양을 탈환했으나, 일본군과의 전쟁은 이후 1598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
 (출처조선왕조실록)
📌 조선의 상황

  • 한양을 탈환했으나, 일본군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전쟁을 지속함
  •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의 활약이 결정적인 역할을 함
  • 결국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이 완전히 철수하며 임진왜란이 끝남

ㅇ마무리

3월 11일은 자연재해, 독립운동, 정치적 사건 등 굵직한 역사적 변곡점이 많았던 날입니다.
특히 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등 현대사에서 큰 영향을 미친 사건들이 있어 더욱 의미가 큽니다.

💬 여러분이 기억하는 3월 11일의 중요한 사건은 무엇인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 더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구독과 좋아요,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전체 이미지출처 :위키백과)

반응형